본문 바로가기
사는이야기

대한민국 최초 인공위성은 30년전 이것?(역사/갯수/연혁)

by 낭만여행자 2022. 2. 23.
반응형

 

작년 누리호 한국형 발사체가 거의 성공하는 모습을 보고 대한민국의 로켓 우주강국 진입이 목전에 있는것 같은 느낌입니다.

다음번 발사에서는 완벽하게 위성까지 우주 궤도에 올려놓는 성공을 하길 바랍니다.

로켓에 대해서는 아직 미완성 같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벌써 30년전에 인공위성을 발사한 나라입니다.

인공위성만큼은 이미 세계적인 선진 우주강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것이죠

 

30년전인 1992년에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1호를 시작으로 18개 인공위성을 우주로 보낸 역사가 있는데요

대한민국이 발사했던 인공위성의 역혁을 연도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위성이름 발사일 담당기관
우리별1호 1992년 8월 11일 SaTReC
우리별2호 1993년 9월 26일 SaTReC
무궁화1호 1995년 8월 5일 KT
무궁화2호 1996년 1월 14일 KT
우리별3호 1999년 5월 26일 SaTReC
무궁화3호 199년 9월 4일 KT
아리랑1호 1999년 12월 21일 KARI
과학기술위성1호 2003년 9월 27일 SaTReC
한별 2004년 3월 13일 SK텔링크
아리랑2호 2006년 7월 28일 KARI
무궁화5호 2006년 8월 22일 KT
천리안 2010년 6월 27일 KARI
올레1호 2010년 12우러 28일 KT
아리랑3호 2012년 5월 18일 KARI
나로과학위성 2013년 1월 30일 SaTReC
아리랑5호 2013년 11월 21일 KARI
과학기술위성3호 2013년 11월 21일 KARI
아리랑3A호 2015년 3월 26일 KARI

(참고) SaTReC=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 연구소, KARI=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을 우주로 올려보내기 위해서는 발사체가 필요한데 실제로 우주산업기술에 있어서 위성보다는 발사체에 대한 기술이 더욱 우선시 되기는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2013년 나로호 발사체를 통한 나로과학위성을 제외하면 모두 타국의 발사체를 이용하여 위성을 발사했습니다.

향후에 순수우리기술로 제작된 한국형발사체인 누리호가 완벽하게 발사에 성공한다면 더이상 외국의 발사체를 빌려서 대한민국의 위성을 발사하지 않아도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